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 관리 : 새글

(애니)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 어떤걸 선택해도 늘 똑같아

Category : MUSIC & MOVIE | 2012. 8. 19. 22:29

 

 

 

 

 

 

 

1. 四畳半神話大系(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기본정보

 

원제: 四畳半神話大系
상영년도: 2010. 4/27 ~ 2010. 7/01
편성: FUJI TV, 총 11화
공식 웹사이트: http://www.fujitv.co.jp/b_hp/yojyouhan/
감독: Yuasa Masaaki (湯浅政明)
음악 : Ooshima Mitsiru (大島ミチル)
제작: MAD HOUSE
원작: Morimi Tomihiko (森見登美彦)

 

 

 

 

2. 등장인물 소개

 

 

나 : 이름 없이 '나(私)'로만 지칭된다. 주인공이긴 하지만 일반적인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멋진 주인공과 거리가 먼 잉여로운 대학생의 전형적인 표본이자 찌질함을 가지고 허세가 강한 인물. 자신의 잉여스러운 삶이 자기 탓이 아니라 남 탓이라고 돌리면서, 신입생 때 선택을 잘 했더라면 지금쯤이면 멋진 대학 생활을 할 텐데 하고 후회만 하고 있다.
주로 하는 일은 자기가 소속된 동아리나 자기 주변의 인간관계에서 보이는 모든 커플 내지는 커플이 될 기미가 보이는 남녀의 연을 끊어놓는 것. 주로 오즈와 이런 잉여로운 행동을 함께하는 경우가 많다. 주인공은 오즈를 매우 경멸하지만 사실 오즈 이외엔 찾아오는 친구가 없다. 이래저래 안습한 인생.

 

 

오즈 : 주인공과 더불어서 잉여로운 대학생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인물이자 교토대학교 공학부 학생. 주인공과 달리 잉여로움을 즐기는 인물이자 작중 주인공이 휘말리는 거의 모든 사건의 실제 원인 제공자. 그리고 뭔지 모를 음모와 흑막으로 둘러싸인 반 수수께끼 인물. 이야기 스토리 전개상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주인공은 부정하지만 주인공의 유일무이한 친구. 주인공은 오즈에게 반말을 하지만 그는 주인공에게 꼬박꼬박 경어를 쓰고 있다.

 


아카시 : 주인공과 오즈보다 한 학년 후배이며 주어진 일을 매우 잘 처리하는 인물이나, 그 똑 부러짐이 너무 과하고 입바른 소리를 곧잘 해서 본의 아니게 쌀쌀맞아 선배들이나 동기들이 그녀를 가까이 하기 좀 꺼려한다. 이게 너무 심해 철의 여인과도 같은 성품으로 보이지만, 의외로 나방을 엄청 무서워하는 갭 모에를 보이고 있다. 작중에서 가장 상식적인 인물. 그녀의 모습은 원작가 모리미 토미히코가 늘 그리는 검은 머리 소녀의 그 모습.

 


히구치 세이타로 : 대학을 8년 동안 다니고 있는, 1년 내내 똑같은 유카타 차림으로 돌아다니는 날백수이자 작중 오즈의 스승.(에피소드에 따라 주인공과 아카시의 스승도 된다.) 세상과 담을 쌓고 사는 듯한 이미지가 강하며 주인공 일행들에게 별 쓸데없는, 어쩔 때는 실현 불가능한 심부름을 시키면서 사는 인물. 최근에는 쥘 베른의 해저 및 2만 마일에 빠져 사는 듯. 참고로 히구치는 모리미 토미히코의 다른 소설인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에도 등장한다.

 


하누키 료코 : 치위생사이며 작중 히구치와 조가사키와는 오래 전부터 아는 친구 사이. 미인이지만 엄청난 술꾼에 주사가 굉장히 심해 술에 취하면 다른 사람의 얼굴을 핥는 버릇이 있다. 작중에서 히구치와 연인 비슷한 무드가 형성되지만 쉽게 연결되지는 않는다. 이는 모리미 토미히코의 또 다른 소설 '밤은 짧어 걸어 아가씨야'에서도 마찬가지. 

 


조가사키 마사키 : 영화 동아리 '계'의 수장이며 잘생긴 마스크와 카리스마로 동아리를 휘어잡고 신입생과 여학생들에게 선망의 대상이나 알고 보면 나르시즘에 빠져있는데다가 여자 가슴에 대한 페티쉬즘과 러브 돌 카오리를 애지중지 하는 변태. 그의 본 모습을 알고 있는 주인공(특히 그는 조가사키에게 완전히 찍혀 동아리 내에서 입지가 굉장히 안 좋았다.)과 오즈는 그의 실체를 까밝히려고 음모를 초반에 꾸민다. 작중에서 히구치와 대립관계인 것 처럼 보였으나 히구치와 료코와는 친구관계로 나중에 밝혀진다.

 

 

 

 

 

3.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주인공, 그리고 우리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 주인공

 

 

"고교 시절에는 딱히 클럽활동도 안 하고
같은 비활동적인 남자들과 죽치고 있을 뿐 이었다
하지만 나는 초롱초롱한 대학 1학년생
환상의 보물이라고 하는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의 문이
지금 여기에 무수히 열리는 것을 눈앞에 두고 있었고
막 흥분하며 몽롱해있었다
그리고 내가 고른 것은 테니스 부 큐피드.
검은 머리의 소녀들과 개운하게 땀을 흘리며
사랑의 랠리를 서로 치는 것이다!" 

(1화에서 발췌)

 

 

그렇게 대학만 간다면, 대학교에 입학하면 고생 끝 행복 시작이며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가 펼쳐질 거라 의심치 않았건만 세상은 만만치 않다는 것을 곧 깨닫게 되는 게 우리의 인생입니다. 대학생활은 생각만큼 장밋빛으로 되어 있지 않으며, 입시지옥과 취업지옥 사이에 있는 완충시간대라는 것을 곧 알게 되며, 중, 고등학교 때 알던 얕은 지식으로만 알고 있던 전공에 관한 지식은 빙산의 일각 밖에 되지 않아, 대학에서 제대로 전공을 배우다 보면 어? 이런 것도 배우는가? 내가 생각하던 그런 거랑 전혀 딴 판이잖아? 를 깨닫게 되고 자칫 잘못 하다가는 전공 자체에 흥미를 잃고 방황해버릴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대학 졸업생들이 졸업 후 취업하는 분야와 전공의 일치는 굉장히 낮은 편이죠) 거기다가 뚜렷한 목표의식이 없고, 전공과 상관없이 대학교를 진학한 경우에는 더더욱.
이렇게 되다보면 보통 이런 생각을 해보기 마련입니다.

 

 

'그때 내가 다른 선택을 했다면, 지금의 나는 더 좋은 생활을 하고 있을 텐데...'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는 이런 속으로 뜨끔할만한, 누구나 생각하고 있을법한 내용을 가지고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인공인 '나'는 대학캠퍼스생활에 대한 여느 남학생처럼 환상에 가득 부푼 대학생활을 기대하며 대학에 입학을 하게 되고, 핑크빛을 꿈꾸며, 수많은 클럽 권유 중 한군데를 선택하고 가입하게 되지만 검은 머리 소녀와 엎치락 뒤차락 사랑의 랑데뷰는 어디로 사라져버리고 엉뚱하게도 '오즈'라는 묘한 동급생과 계속 얽히게 되고 2년을 허송세월로 보내버리게 됩니다. 한마디로 잉여 LIFE
뭔가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 주인공은, 그러나 자신의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고 이게 다 오즈 때문이라고 책임을 전가합니다. 이 또한 전형적인 자기 방어 기제인 것이죠.

 

 

"네놈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좀 더 유의미하게 살 수 있었던 것이 분명해. 학업에 힘쓰고, 검은머리 아가씨와 사귀고, 얼룩 한 점 없는 학창생활을 마음껏 만끽했을 것이다. 그렇고 말고"

(원작 소설 56~57P에서 발췌)

 

 

아 이 한심한 대학생인 주인공이여...

 

 

 

 

 

4.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자기 자신부터 바뀌어야

 

 

그 주인공의 간절한? 바람이 교토의 신을 감복시킨 것인지 소원대로 타임 루프를 타게 되며 다른 선택을 하고 다른 동아리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이야기가 매 회 진행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다른 선택을 해도, 어떤 동아리에 가입해도 주인공의 인생은 변함없이 잉여 LIFE가 되며, 늘 상 오즈랑 엮이고,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 따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원작 소설에서는 3번에 걸쳐(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소설의 3/4에 걸쳐 반복), 애니메이션 상에선 9화에 걸쳐 반복이 됩니다.
그러다가 시모가모유스이 장에서 80일간 수많은 자신의 평행세계를 방황하면서 진정한 자신의 문제를 깨닫게 되죠.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 따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왜냐? 세상은 하나의 장밋빛으로 이뤄지지 않는, 실로 여러 색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말이죠. 여러 색으로 이뤄져 있다는 것은 그 만큼의 가능성이 있는 인생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그 동안 주인공은 언제나 가능성이 있는 자신과, 자신이 처한 현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항상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불만만 토로하고 오즈 탓만 하며 자기방어기제로 넘어가기 일쑤였던 것이죠. 진정으로 자신을 알지 못하고, 또 믿지 않았고 그로인해 인생에 단 한번뿐인 청춘을 있는 힘껏 즐기지 못한 것이었습니다. 이런 근본적인 원인을 모른 채 동아리를 바꾸고 선택을 달리한다고 그가 원하는 인생을 얻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어느 방의 주민도 자못 재미있어 보인다.  결코 장밋빛까지는 아니더라도, 각각의 넉장 반이 각각의 색으로 흘러넘치는 것만 같다. 나에게도 이런 선택이 가능했다는 것인가?"

(10화의 독백에서 발췌)

 

 

 

10화의 마지막에 이를 깨달은 주인공은 평행세계의 미로를 벗어나게 되고 드디어 그가 원하던 검은머리 아가씨인 아카시와 사귀게 되고 나름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즐기게 됩니다. 어찌보면 파랑새처럼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닌 자기 주변에 있음을 알려주며 일상이 자기 마음먹기에 따라 극락일수도 지옥일 수도 있는 고전적 교훈을 내포하고 있는, 한 인물의 성장을 그린 성장물로 많은 것을 시사해줍니다.

 

 

"그 운명의 시계탑 앞에서 비밀 기관 '복묘반점'을 선택한 데 대한 후회의 염을 떨칠 수 없다. 만약 그때 다른 길을 선택했더라면 나는 다른 학창생활을 보내고 있었으리라.
그러나 그 무한히 계속되는 다다미 넉 장 반 세계를 80일간 걸어 본 인상으로 추측하건데, 나는 어느 길을 선택했어도 별 차이 없는 2년간을 보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무엇보다도, 무서운 상상이기는 하나, 어느 길을 선택했어도 오즈를 만나지 않았을까. 오즈의 말대로 우리는 운명의 검은 실로 맺어져 있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나는 과거의 자신을 보듬어주지는 않고 과거의 과오를 긍정하지도 않지만, 우선 너그러이 봐주는 정도는 못할 것도 없다."

(원작 소설 400~401P에서 발췌)

 

 

 

 

 

5. 그 외


1. 원작을 기반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지만 전개 방식은 사뭇 다릅니다. 원작 소설은 그야말로 평행세계를 다루고 있고, 각 장마다 어찌되었던 같은 결론이 나오는 HAPPY ENDING에 (어느 동아리를 선택하던 아카시와 연결되서 잘됨) 마지막 4장서 평행세계의 미로를 방황하면서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TRUE ENDING을 가지는 반면, 애니메이션은 평행세계 보다는 루프물에 가까우며, 다만 소설의 마지막 장에 해당하는 10화 11화에서 소설판 마지막 장과 같은 전개를 맺습니다. 애니메이션판도 굉장한 수작임에는 틀림없지만 먼저 소설 원작을 보고 애니메이션을 보기를 권고합니다. 개인적으로 소설 원작의 전개에 점수를 더 주고 싶습니다.

 

 

2. 특히 애니메이션판에서 굉장히 아쉬운 것이 대규모 나방 떼의 습격이 마지막에만 나왔다는 것이지요. 소설에서는 매 장의 마지막 부분쯤에서 나방 떼의 대 습격이 이뤄지고 저 많은 나방이 어디서 나왔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하다가 마지막 4장에서 그것을 해소시키면서 이렇게 치밀하게 연결되는구나 하고 감탄하게 했는데 그것이 생략된 것이 좀 아쉬웠습니다. 이는 처음부터 평행세계물이 아닌 루프물로 가다가 마지막에 평행세계를 다룬 애니메이션의 플롯 상 어쩔 수 없는 일이었겠지만...

 


3. 원작자 모리미 토미히코는 의고체라고 불리는 고풍스러운 문체를 사용하는 것이 그의 특징인데 주인공이 나열하는 단어들은 그저 아무 의미 없는 허세들의 연속인 경우가 많습니다. 거기다가 혼자 생각하는 망상의 표현은 쓸데없이 매우 긴 편인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이것을 속사포 랩처럼 주인공의 독백으로 표현해버렸습니다. 이는 애니메이션판만의 독특한 IDENTITY로 남게 되면서 의고체와 주인공의 허세를 매우 잘 표현한 연출로 기록될 듯. 

 


4. 비화에 따르면 원래 감독은 2배속을 원했지만, 하다가 담당 성우인 아사누마 신타로가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바람에 속도를 약간 낮췄다고 합니다. 낮춘게 저 정도면 도대체 감독은 얼마나 빠르길 원했단 말인지.

 


5. 작품의 주요활동 무대인 시모가모유스이장은 실제 1913년 준공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교토대학교 기숙사 요시다료를 모티브로 했다고 합니다.

요시다료에 대한 사진모습과 자료는 여기로 

 


6. 우리나라에서 주택의 크기를 평(坪)으로 표기하듯(비록 미터법으로 표기하라고 엄청난 압력이 들어오고 있는 실정이지만), 일본에서는 다다미 크기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다다미 넉장 반이면 가장 작은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크기를 의미하며, 우리나라로 치면 고시원 크기 정도라고 합니다.

 


7. 감독인 Yuasa Masaaki는 다른 작품도 그렇지만 이 작품에서 극한의 디테일을 추구했다고 합니다.(여기서 말하는 디테일은 작화 디테일이 아닌 사실성 추구 및 남들이 그냥 넘어가는 부분을 세밀하게 챙기고 계산했다는 것) 이는 MAD HOUSE에서 일하는 김현태님의 인터뷰에서 드러나는 내용.
실제로 오프닝도 그렇고 작품을 위해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의 작품무대가 됐던 방을 빌려 3개월 동안 꾸미고 생활했다고 합니다.

 


8. 이런 노력의 결실로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는 2010년 12월.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대상을 수상했고 2011년 2월에는 도쿄 국제 아니메 페어에서 TV 애니메이션 부분 우수 작품상을 받았습니다.

 

 

9. 오프닝과 엔딩이 상당히 인상적인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만 마지막 11화는 오프닝과 엔딩이 서로 위치를 바꾸고 있습니다.

 

 

 

 

四畳半神話大系 OP : 迷子犬と雨のビート

 

 

 

四畳半神話大系 ED : 神様のいうとおり

 

 

 

 

 

 

 



FAZZ 블로그의 모든 저작물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에 따라 저작자 표시, 비영리, 동일조건변경허락조건 하에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AZZ 블로그는 IE, FireFox, Opera 등의 주요 브라우저 모두에서 테스트 되었습니다.
Except where otherwise noted, All contents on FAZZ's Blog are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2.5 License
Best viewd with all browsers - FireFox, IE, Opera and more...